회사에서 Vitrualbox를 사용해서 Centos를 설치한다음

네트워크 설정을 다 해주었는데 인터넷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.

 

구체적으로는
버추얼박스 Centos 가상머신을 생성 후 가상어댑터1 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 가상어댑터2 에는 NAT를 설정 해 주고
Centos를 설치하였더니 enp0s3, enp0s8 이렇게 두개의 어댑터가 생성되었다.
enp0s3가 호스트 전용 어댑터이기 때문에

ONBOOT="yes"
BOOTPROTO="static"  
IPADDR=192.168.56.120  
GATEWAY="192.168.56.1"  
NETMASK="255.255.255.0"  
DNS1="8.8.8.8"  
DNS2="1.1.1.1"

이렇게 설정을 추가해 주고

enp0s8 에는 ONBOOT="yes" 만을 해 준 다음 service network start 를 해 주었다.

이 상태에서 ping 8.8.8.8 을 하였더니 연결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.

 

IP 충돌이라도 있나 싶어서 BOOTPROTO 항목을 dhcp로 설정하고 IPADDR 항목을 없앴더니

ping 8.8.8.8 이 정상적으로 동작했다.

 

DHCP에서 설정해준 IP는 192.168.56.119 였기 때문에 BOOTPROTO를 static으로 다시 변경 후

IPADDR을 192.168.56.119 로 설정하고 service network start를 해 주었는데

다시 인터넷이 되지 않았다...

 

 

그래서 인터넷을 뒤져보면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ifup, ifdown 을 사용하여

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있어서 실행해 보았다.

 

ifdown enp0s3
ifup enp0s3

 

그런데 이 이후부터 인터넷이 정상동작하였다.

이해가 잘 안가서


route -n

 

명령어를 실행해서 라우팅 테이블을 보았는데

 

인터넷이 안될때의 라우팅 테이블

 

인터넷이 잘 될때의 라우팅 테이블

라우팅 테이블의 우선순위가 바뀐것을 확인하였다.

아무래도 enp0s3 디바이스를 내렸다가 다시 올렸기때문에 우선수위가 enp0s8 보다 올라간것 같다.

 

이 상태에서 재부팅을 하거나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우선순위가 위쪽 그림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인지

다시 인터넷이 안되게 되었다.

 

브릿지 어댑터를 사용하면 저런 문제 없이 VM간 통신도 되고 인터넷도 잘 되겠지만 회사 네트워크에서는 브릿지 어댑터를 사용할 수가 없다.

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우선순위가 저렇게 된 이유는 아마 내가 버추얼박스의 네트워크 어댑터를 잘못 설정해서 그런거겠지? 아마 내가 뭔가 잘못했을거다...

아마 NAT + 호스트 어댑터 상태로 해야하는데 호스트 어댑터 + NAT 로 설정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기는 하다.

 

 

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올렸다가 내리는 것으로 일시적으로라도 우선순위를 바꿔서 인터넷이 되도록 설정을 할 수 있었다.

하여간 별게 다 문제임

'IT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ellyfin 미디어 서버 소개  (2) 2020.12.24
SMPlayer + SVP 4 설정하기  (0) 2020.12.24
드미트리 렌더와 스플래시  (0) 2020.12.24

+ Recent posts